부동산 투자

부동산 상승?! 내 집 마련의 시작은 현재 나의 자본 알아보기!(주택 구입 전 은행사별 대출 한도 조회를 해보자)

하면 된다 부부 2023. 7. 20. 23:46
반응형

 

내 집을 마련을 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가 내가 사고 싶은 집을 알아보는 것이라고 생각하겠지만 가장 먼저인 것은 바로 나의 자본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 자신이 현재 현금이 얼마가 있고 자산은 얼마가 있으며 대출은 얼마까지 가능하지를 알아야 그다음이 내 집마련을 고민하거나 부동산 투자를 고민하거나 하는 것이다. 

 

지금은 부동산 시장은 복잡하다. 서울의 주요 입지 및 경기도의 주요 입지 단지 부터는 전세가 및 매매가가 상승하고 있다. 상승의 시작인지 아니면 이대로 보합일지, 또는 다시 하락할 거라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아직 아무도 미래는 모르지만 현재 기준으로 각자 판단을 해야 한다. 이때 이제 내 집을 마련하거나 이제 상승으로 판단되어 부동산 투자를 고민하는 사람들이 있을 수 있다. 이제는 부동산 상승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한국부동산원의 데이터도 매매가격추이가 상승으로 방향이 전환되었다. 

 

부동산-매매가-변동율
한국부동산원의 부동산의 매매가율 상승

소크라테스의 유명한 말이 있다. 바로 모두가 알고 있는 '너 자신을 알라' 이다. 말 그대로 어떤 일이든 어떤 것을 고민하기 전에 일단 자기 자신을 먼저 알아야 한다. 부동산에서는 현재의 활용가능한 자산을 알아야한다는 것이다.

 

인터넷 은행과 경쟁으로 금리도 꾸준히 낮아지고 있고, 각 시중 은행마다 경쟁하여 하나은행 및 농협의 대출의 이자상환 기간도 50년까지 확장되고 있다.

 

각 개인마다 판단은 다르고 모두 시장을 보는 견해는 다르고 존중되어야 한다고 본다. 하지만 이런 시기에도 이제 내집마련의 기회가 왔다! 또는 부동산 투자의 기회가 왔다!라고 판단되시는 분들은 나의 자산을 명확히 확인해 보고 현금 및 대출의 계획을 수립해서 내가 원하는 지역의 주택의 구입과 내가 실제로 구매할 수 있는 주택을 구분해서 그 사이의 갭을 판단해야 한다. 

반응형

1. 우선 현재의 나의 자산을 조회해보자.

아래처럼 나의 자산을 확인해 보고 월소득 50% 이내로 이자상환이 가능한 대출 금액과 기간으로 최대 자산 계획을 세워본다.

  1. 나의 연봉과 현재 현금과 주식 및 부동산으로 소유하고 있는 자산을 합하여 나의 현금+자산을 알아본다.
  2. 은행사별 내가 받을 수 있는 한도와 금리를 확인한다.
  3. 현재 내가 1 금융을 기준으로 대출을 받았을 때 최대 받을수 있는 한도를 확인한다.
  4. 대출을 받았을때 대출계산기를 통하여 내가 월 소득에서 50% 이내로 이자상환이 가능한지 확인한다.

[대출이자 계산 시 참고]

 

 

대출이자계산기 : 네이버 통합검색

'대출이자계산기'의 네이버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search.naver.com

 

2. 내가 원하는 주택이 있는데 현재 자산으로 불가능할 때

내가 원하는 지역과 단지는 있지만 위에 계산한 현재의 나의 자산으로 불가능할 때는 무리해서 구입하기보다는 한 단계를 낮춰서 구입을 하여 갈아타기를 하는 방법이 있고 또 하나는 지금 미리 전세를 끼고 사두었다가 추후에 본인이 전세입자가 나가고 들어가는 방법이 있다. 현재는 전세가가 낮아져 있기 때문에 전세를 끼고 구매했을 때 더 이상의 역전세가 발생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리스크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전세를 주고 본인도 거주할 주택이 해결이 가능하는 전제하에 고민해야 한다.

갈아타기를 해서 원하는 주택에 가기에는 갈아타는 시점을 맞추기가 어렵기 때문에 두 번째 방법인 전세를 활용하는 방법이 더 나을 것으로 판단된다. 요점은 눈높이를 낮추더라도 월소득의 50% 이상의 무리한 대출을 활용하여 구매하는 것은 무조건 부동산의 상승이라고 판단될 때에만 실행하는 것이다. 

 

3. 내가 실제로 구매할 수 있는 주택을 확인하였을 때

실제로 구매할 수 있는 집을 확인했을때는 내가 원하는 지역과 단지가 아닐수도 있고 더 현실적으로는 신축이 아닌 구축의 아파트일 수도 있다. 지금 실제로 구매가능한 집이 마음에 안들겠지만 이것의 의미는 크다. 실제로 이집을 구매하라는 것이 아니라 지금 나의 자산으로 구매할수 있는 집과 내가 살고 싶은 집의 갭을 확인해 보고 괴리감이 올 수 있다. 이 갭을 명확히 알고 있어야지 이제부터 내가 나의 소비를 통제할 수 있고, 월별 나의 지출을 정확히 확인해 보는 계기가 될 수 있다.

 

4. 결론은 지출 통제이다.

내가 살 수 있는 집과 살고 싶은 집의 가격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내가 소득을 늘릴 수 없다면 지출을 통제해야 한다. 지출을 통제하고 저축을 하고 대출 계획을 세우고 이자상환 계획을 세우는 것이 내 집 마련의 가장 기초이다. 소득은 변하지 않아도 지출을 줄이면 '월소득 - 지출'을 계산했을 때 이자상환 금액이 늘어날 수 있다.

그럼 대출금을 더 받을 수 있다. 지금부터 손품을 팔아서 은행사별 금리와 나의 대출 한도를 확인해서 정리해 보자. 그래야 나의 자산계획을 세워볼 수 있고 내가 사고 싶은 집과 살 수 있는 집의 차이를 가늠해 볼 수 있다.

 

[이전 발행글 참고]

2023.07.16 - [부동산 투자] - 하나은행, 농협 주택담보대출 50년 만기로 대출 신청 조회해보자(Feat. 50년 만기 이유와 활용 방안)

 

하나은행, 농협 주택담보대출 50년 만기로 대출 신청 조회해보자(Feat. 50년 만기 이유와 활용 방안

하나은행과 농협에서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50년 만기로 7월부터 선택 가능 기간이 추가 되었다. 주택을 구입할때 월별 이자상환액이 부담되어 주택구입을 고민 중인 대기수요자는 50년 만기로

money2free.tistory.com

2023.06.27 - [부동산 투자] - 나와 연소득이 비슷한 사람들은 얼마짜리 집을 살까(연봉별 실거주 아파트가격, KB부동산)

 

나와 연소득이 비슷한 사람들은 얼마짜리 집을 살까(연봉별 실거주 아파트가격, KB부동산)

무주택자가 집을 처음 사려고 할 때 궁금하게 되는 부분이 있다. 지금 나의 소득으로 얼마짜리의 집을 사는 게 맞는 것인지 궁금해진다. 만약 나의 소득으로 너무 비싼 집을 사게 되는 것인지 아

money2free.tistory.com

2023.06.06 - [부동산 투자] - 저금리로 대환대출 및 대출갈아타기 고민 시점이 왔다. (Feat. 모바일 대환대출 서비스)

 

저금리로 대환대출 및 대출갈아타기 고민 시점이 왔다. (Feat. 모바일 대환대출 서비스)

요즘 금리가 낮아졌다는 기사들도 보이고 실제로 이전에 변동금리로 대출을 실행했던 분들은 금리가 6~8% 이상 되기로 하였는데 실제로 지금 3~4%대로 많이 낮아진 상황이다. 부동산 폭등 이전에

money2free.tistory.com

 

반응형